‘우리가 생각하고 느끼고 경험하는 것들이 우리 신경세포의 기억으로 저장되어 있다’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생각이라고 하는 것이 실체를 가지고 우리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말해 준다. 기억의 기본 단위인 ‘엔그램’은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서 생기는 생화학적 변화를 생기는 것인데 ‘기억 흔적’이라고도 말하는 개념이다. 이것은 독일의 동물학자인 ‘리하트트 지몬’이라는 사람이 처음 발견한 것으로 과거의 개인적 경험, 부정적 경험이 머리 속에 남겨놓은 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지난 호주 기독교대학에서 열린 특강 시리즈에서 홍안희 교수는 우리가 하는 생각이 뇌에 영향을 주고 몸에도 흔적을 남기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독이 되는 생각들이 우리의 건강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했다. 독이 되는 생각을 할 때 우리 몸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졸이 엄청난 양으로 나온다고 한다. 생각을 잘 처리하는 것이 건강하게 살아가는데 얼마나 중요한 부분인지를 생각하며 생각을 잘 돌보는 것의 중요성을 배우고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몸이 아프면 치료를 받지만 나쁜 생각들을 치료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알지 못한 채 부정적인 생각이 떠오르면 그것이 계속해서 나의 감정과 몸을 지배하도록 내어 줄 때가 많이 있다. 예를 들어, 전날 밤 남편과 다툼을 한 후 해결이 안되었을 때 그 다음날 하루 종일 그 생각을 하면서 부정적인 감정과 꼬리에 꼬리를 무는 부정적 생각에 시간을 다 허비한다. 그동안 내 몸은 스트레스 호르몬을 뿜어내고 긴장되어 있으면서 면역도 약해지고 있는데 말이다.
가장 대표적인 심리 치료법의 하나인 인지 행동 치료는 인지가 사람의 건강성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지를 알고 생각 바꾸기를 통해서 사람의 정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사람은 자기도 모르게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면 그것으로 인해 부정적 생각을 하게 되기가 쉽고 부정적 생각은 부정적 감정과 건강하지 못한 대처 방식으로 이어지게 하는 경우가 많다. 남편이랑 다툰 아내는 남편에 대해서 하루 종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가 저녁에 집에 돌아온 남편에게 “왜 이렇게 늦게 돌아왔어!” 라고 잔소리부터 나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강한 생각을 하는 것은 너무나 중요한데 그 무엇보다도 자신에게 대해서 건강한 생각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려움이나 갈등이 생겼을 때 많은 사람들은 자신에게 화살을 돌리는 경우가 많다. 특히, 우울감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문제가 생기면 그것의 모든 원인을 자신에게 돌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들은 “다 내 잘못이다. 내가 잘못된 만남을 시작해서 이렇게 된 것이야 “라고 생각하거나 “내가 부족하니 그럴 수 밖에 없지 “ 라는 식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문제의 원인이 자신이라고 생각할 때 그것도 근본적인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자신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할 때 사람은 행복해지기가 어렵다. 타인보다 늘 부족하고 문제가 있는 자신과 살아가는 것이 고통스럽기 때문이다.
좋은 생각을 하기 위해서 먼저 걸러내야 하는 생각이 바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이다. 일시적인 실수로 인한 잘못을 저질렀을 때는 죄책감이나 미안함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지만 영구적으로 자신의 본질이 문제가 있고 잘못되었다고 느끼는 잘못된 생각은 지금이라도 빨리 벗어나야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내가 오늘은 좀 실수를 했지만 나는 여전히 멋있고 가치 있는 사람이다”, “나는 점점 더 나아지고 있다” 라고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한 생각이다.
다음으로 좋은 생각을 하고 싶은데 도저히 안된다고 할 때가 있을 것이다. 그럴 때는 나쁜 생각을 억지로 없애려고 하기보다 좋은 생각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누구나 한 두 가지 정도는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는데 그 기억을 떠올리면서 마치 내가 그 기억 속에 있다고 상상하는 일종의 심상 기법을 사용하면서 양쪽 무릎을 토닥토닥 쳐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것으로 행복한 기억을 생생하게 나의 뇌가 느끼게 하여서 행복함을 만들어 뇌의 독소를 제거하고 행복 호르몬이 나오면서 나를 평안하게 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양쪽으로 무릎을 치는 것은 평안하고 좋은 기억이 뇌의 자극을 통해 새로운 기억으로 저장되게 해 주는 부분이 있다. 이런 훈련을 통해 부정적이고 독이 되는 기억은 짧게 하고 행복하고 긍정적인 기억은 오래 하도록 만들어서 긍정적인 기억이 더 뇌에 많이 쌓이도록 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생각을 거르는 방법이다. 하루에도 우리는 수천 가지 생각들을 하는데 그 생각 중 일부는 우리가 본 영상을 통해서 또는 우리가 경험한 장면을 통해서 순간순간 침투한다. 그런데 그 생각 중에 일부는 좋은 생각이지만 많은 생각은 부정적이고 독이 될 수 있고 살아가는데 또는 관계에 도움이 안되는 생각들이다. 그래서 나의 생각을 한 번씩은 객관화 시켜서 보면서 ‘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네. 이 생각은 나의 삶에 도움이 되는 생각일까? ‘생각을 해보거나 크리스챤인 경우에는 “이 생각이 성경적 진리에 맞는 생각일까? “도 생각해 보아서 도움이 되는 생각이고 진리에 맞는 생각이면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생각이면 걸러서 쓰레기통에 넣는 것처럼 차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내가 생각한다고 해서 내가 생각하고 느끼는 모든 것이 옳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의 기억과 생각은 수많은 오류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무조건 나의 생각에 떠오른 것을 다 받아들이기 보다는 검열하는 과정을 한 번씩은 거쳐서 독이 되고 부정적인 생각은 ‘멈춤’을 하고 긍정적이고 창의적이고 기쁨을 가져다 주며 좋은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생각은 계속하는 것을 통해 거르는 연습을 하는 것이 행복하고 건강한 생각을 하면서 사는데 도움이 된다.
생각의 훈련을 통해 뇌를 건강하게 정신을 건강하고 또 그것으로 육체를 건강하게 하면서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 호주기독교대학 총장